본문 바로가기
Dream Factory/에세이

[삼성앤유] 단단한 뼈 연약한 살 속으로 숨다

by 사랑해,태진 2017. 6. 21.

단단한 뼈 연약한 살 속으로 숨다

 

가을바다 속은 두족류(頭足類) 세상입니다. 겨울을 앞두고 열심히 먹어서 살이 통통하게 오른 오징어나 주꾸미가 지천에 널려 있거든요. 뼈가 없이 부드러운 살로 이뤄진 연체동물들은 물속을 자유롭게 헤엄쳐 다닙니다. 그 유연한 몸놀림을 보노라면 우리의 뻣뻣한 몸이 조금 거추장스럽게 느껴집니다. 딱딱한 뼈들 때문에 아무 방향으로나 움직일 수 없고, 잘못 움직이면 관절이 어긋나서 꼼짝도 할 수 없게 되니까요.

 

하지만 뼈는 우리가 움직이는 데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입니다. 우선 등뼈와 다리뼈는 지구 중력을 이기고 땅 위에 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만약 뼈가 없었다면 우리는 지렁이나 거머리처럼 온몸을 땅에 붙인 채 살아야 할지 모릅니다. 등뼈가 있는 척추동물들은 뼈를 부드러운 근육 속에 감추고 있는데요. 근육이 수축하고 팽창하면서 나오는 힘을 받아 뼈를 움직입니다. 덕분에 우리는 서고, 걷고, 달릴 수 있습니다.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서 관절이라는 시스템을 이용했습니다. 대퇴골이나 정강이뼈, 손가락 뼈 등은 여러 개의 작은 뼈로 이뤄져있어서 유연하게 구부릴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보이는 것은 부드러운 근육이지만 사실 근육은 단단한 뼈를 기준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입니다. 결국 뼈는 외부의 힘을 이기고, 원하는 방향으로 힘을 쓸 수 있도록 돕는 근원입니다.

 

단단한 뼈는 원칙으로 바꿔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정해진 데 맞춰야 한다는 건 우리에게 제한이나 제약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단단하게 서 있는 기준은 오히려 더 큰 효율을 만들어 냅니다. 뼈가 있어 똑바로 서고 움직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원칙은 질서를 만들고, 질서가 있어 세상이 원활하게 움직입니다.

 

포유동물처럼 뼈가 근육 안으로 들어간 내골격에는 한 가지 약점이 있습니다. 외부의 공격에 취약하다는 점입니다. 얼룩말 같은 포유류가 사자에게 잡혔을 때를 생각해봅시다. 사자는 날카로운 이빨로 얼룩말의 근육을 물어버립니다. 내장도 금방 드러나고 맙니다. 게나 가재 같은 갑각류들처럼 딱딱한 껍질을 두르고 있다면 근육과 내장을 보호하기 훨씬 좋을 것입니다. 그런데 왜 고등동물이라고 여겨지는 포유류 등은 외골격이 아닌 내골격을 선택한 것일까요?

 

외골격을 가진 동물들은 몸이 커질 때마다 껍질을 벗어내야 합니다. 몸으로 섭취한 칼슘을 버리고 새로운 껍질을 만들어야 하는 거죠. 또 껍질에 금이 가거나 부서지기라도 바로 위기를 맞습니다. 껍질이 다시 자랄 때까지 적들이 기다려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와 달리 몸속에 있는 뼈는 조금씩 자랍니다. 허물을 벗지 않아도 되니 그동안의 몸을 버리지 않아도 됩니다. 혹시 뼈가 부러지더라도 근육의 보호를 받으며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뼈를 몸 안에 넣은 구조가 성장이나 위기 대처에 훨씬 뛰어나다는 걸 보여줍니다. 그래서 지구상의 모든 어류, 양서로, 파충류, 조류, 포유류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뼈를 몸속에 넣는 구조를 선택했습니다.

 

뼈를 원칙에 바꿔 생각한다면 외골격은 딱딱한 기준은 강하게 내세우는 경우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게나 가재의 경우에서처럼 성장이나 위기 대처 능력이 떨어집니다. 반면 내골격을 가진 사람을 비롯한 동물들은 성장하기도 위험을 이겨내는 데도 유리합니다. 어쩌면 세상을 현명하게 살아가는 방법은 단단한 원칙을 세우고, 그것을 부드럽게 운용하는 데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코노돈트 (conodont) 화석. 고생대 해성퇴적암에서 흔하게 산출되며, 주로 흑색 셰일과 석회암에서 많이 발견된다. 캠브리아기-트라이아스기에 생존한 추치류 동물체의 부분화석이다. _ 출처: 위키백과

사실 단단한 뼈는 턱뼈, 등뼈, 혹은 갑옷에서 시작된 게 아니라 이빨에서 시작됐습니다. 동물을 보호할 목적이 아니라 먹을 목적으로 말입니다. 이빨이 만들어지면서 물고기가 다른 물고기를 먹게 됐고, 먹히지 않기 위해 갑옷을 발달시키는 물고기도 나타났습니다.

 

이는 5억년에서 25000년 전 고대 바다화석인 코노돈트에서 드러납니다. 이 화석은 조개처럼 생겼는데, 못처럼 생긴 가시들이 한 줄로 나란히 박힌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학자들은 코노돈트가 조개나 벌레 등으로 추측했지만 원시 어류인 칠성장어의 이빨로 사용됐다는 게 드러났습니다. 칠성장어는 뼈가 하나도 없는 부드러운 몸에 딱딱한 이빨을 가진 물고기였던 것입니다.

 

생물들은 이빨을 만든 방식을 골격뿐 아니라 다른 기관을 만드는 데도 적용했습니다. 부드럽기만 했던 생물의 몸에 털이나 물고기의 비늘, 새의 깃털, 땀샘 등 새로운 조직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생물에게 한 번 등장한 단단함이 부드러움과 조화를 이뤘고,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 셈입니다.

 

태초에 부드러움만 있었던 생물에게 이빨과 뼈가 가진 단단함의 등장은 혁명이었을 겁니다. 그리고 두 가지 특성을 잘 활용한 생물들이 지금까지 살아남았습니다. 단단한 원칙을 품는 일, 그리고 그것을 부드럽게 활용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돌아보게 됩니다.

댓글